안녕하세요?
상냥한 J팍 입니다. 😊
주변에 고혈압을 앓고 계시는 분들이
혹시 계신가요? 😢
제 주변에는 고혈압을 앓고 계시는 분들이
꽤나 많이 있습니다. 😅
근데 이렇게 고혈압을 진단받으면
관리를 해야 하는데
평소 습관을 고치지 않아서 그런지
좀처럼 나아지지 않더라구요?
식습관만 고쳐도 상당히 나아질 텐데.. 😅
그래서 이번에는 혈압 관리에 주의를 해야 하는
나트륨이 많이 들어있는 식품에 대해서
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. 👌
소금의 주성분인 나트륨은 생리 작용에
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하지만 무릇 그렇듯이
너무 많이 섭취하게 되면 고혈압을
초래할 수 있는데요.
만성적인 고혈압은 심장병이나 뇌졸중으로
이어질 위험을 증가시킵니다.
세계보건기구인 WHO에서는
나트륨은 하루 2000mg 이하로 섭취할 것을
권장하고 있는데요.
소금으로 치자면
1 티스푼 이상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.
하지만 한국인들의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
그 두 배인 4000mg을 훌쩍 넘기는데요!
소금에 절인 음식인 김치부터 시작해서
라면이나 우동같은 요리들을 많이 먹기 때문이죠. 😅
그럼 어떤 식품들에 나트륨이 많이 들어있는지
소개해드리겠습니다. 👌
■ 핫케이크
요즘 빵 중에서 인기인 빵인 소금빵은
이름 그대로 반죽에 버터와 소금을
넣어서 만드는 빵입니다.
소금빵 하나에는 대략 나트륨이 400mg이 들어있는데
설탕이 문제일 거 같은 핫케이크의
나트륨 함유량도 그에 못지않다고 하는데요!
시중에 유통되는 핫케이크 가루 100g에는
400mg에서 많게는 700mg의 나트륨이 있다고 합니다. 👌
■ 참치 통조림
해산물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
심장을 튼튼하게 지키는 데 기여를 합니다.
하지만 조개류나 갑각류 그리고 캔에 들거나
냉동한 제품을 먹을 때는 나트륨 함량이
신경을 써야 하는데요.
예를 들어서 참치 캔 하나에는 나트륨이
800mg이 들어있습니다.
얼린 새우 85g에는 나트륨이 400mg이 들어 있구요. 👌
■ 파스타 소스
토마토를 갈아 넣은 파스타 소스 한 컵에는
나트륨이 무려 1000mg이 들어 있습니다.
미트 소스는 이거 보다 더 한데요!
소시지나 미트볼도 추가로 나트륨을
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
파스타를 만들 때는 귀찮더라도
시중에 판매되는 소스 대신 직접 만든
소스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잘 익은 토마토에 마늘과 바질을 곁들이면 되는데요
취향에 따라서는 올리브오일만 사용해서
맛있는 파스타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. 👌
■ 치즈
유제품은 칼슘과 비타민 D의 보고입니다.
그러나 숙성시키지 않은 코티지 치즈나
가공한 치즈에는 소금이 많이 들어갈 수 있는데요.
자연 치즈를 원료로 다른 식품이나 첨가물을 더해 만든
가공 치즈인 슬라이스 치즈, 큐브 치즈, 크림치즈 등도
나트륨의 함량이 높습니다.
혈압에는 신경을 쓴다면 나트륨이 30g당 85mg 정도인
생 모차렐라 치즈나 장당 40mg 이하인
스위스치즈 등 저염 제품이 좋습니다. 👌
■ 채소 주스
명칭에서 풍기는 느낌은 건강하기 이를 데 없지만
의외로 채소 주스에는 나트륨이 많이 들어있습니다.
예를 들어 보자면
일부 토마토 주스는 330g짜리 한 캔 당
나트륨을 무려 900mg이나 함유하고 있는데요.
채소 주스는 되도록 직접 짜서 마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마트에서 구입하여 먹는다면
용기에 표시된 영양 정보를 꼼꼼하게 읽어야 합니다. 👌
몇 가지 나트륨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
뜻밖의 식품들을 알아봤는데요!
혈압은 일상적인 습관들로 인해서
충분히 낮출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
꾸준한 운동과 짜지 않게 먹는 식습관
이것만 해줘도 정상적인 혈압으로
돌아갈 수 있다고 생각해요.
건강한 생활과
건강한 식습관을 지켜서
건강한 삶을 지키시길 바랍니다.
그럼 여기까지
상냥한 J팍 이었습니다. 🙋♂️
'소소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뼈에 대한 진실 몇 가지 #사람의 뼈 (0) | 2023.05.05 |
---|---|
보리와 현미를 먹을 시 몸의 변화 #조심해야 할 사람 (0) | 2023.05.04 |
운동효과를 떨어뜨리는 잘못된 습관 (0) | 2023.05.02 |
미세먼지가 심한 요즘 면역력 키우는 습관 (0) | 2023.05.01 |
건강에 두부가 주는 이로운 효과 #두부 건강효과 (0) | 2023.04.30 |
댓글